"내 노트북 윈도우 버전, 10초 만에 확인하는 초간단 핵꿀팁 대방출! 💻"
목차
- 왜 윈도우 버전을 확인해야 할까요?
- 노트북 윈도우 버전 확인하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 (실행 창 이용)
winver명령어를 이용한 확인- 확인된 정보 해석하기
- 시스템 설정 메뉴를 통해 자세히 확인하는 방법
- 설정 앱 진입하기
- '정보' 메뉴에서 상세 내용 파악
- 명령 프롬프트(CMD)로 확인하는 고급 방법
- CMD 실행 및 명령어 입력
- 명령어 결과 해석
- 윈도우 버전 정보 활용 팁
왜 윈도우 버전을 확인해야 할까요?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윈도우(Windows) 버전을 확인해야 하는 순간이 옵니다. 단순히 Windows 10인지 Windows 11인지를 넘어서, **특정 업데이트 버전(예: 22H2)**이나 **에디션(Home, Pro)**까지 알아야 할 때가 있죠. 가장 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프트웨어/드라이버 호환성: 특정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특정 윈도우 버전 이상에서만 정상 작동하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Windows 10 버전 1909 이상이 필요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보았다면 버전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 기술 지원 요청: 컴퓨터 문제로 기술 지원이나 AS를 받을 때, 상담원이 가장 먼저 물어보는 정보 중 하나가 바로 사용 중인 운영 체제(OS)의 버전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빠른 해결책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최신 상태 확인: 내 노트북이 최신 보안 패치나 기능 업데이트가 적용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 현재 버전을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노트북 윈도우 버전을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스마트한 PC 사용자의 기본입니다.
노트북 윈도우 버전 확인하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 (실행 창 이용)
윈도우 버전을 확인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빠르고 직관적인 방법은 실행 창에 간단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 7, 8, 10, 11 등 거의 모든 버전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winver 명령어를 이용한 확인
- 실행 창 열기: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 키]**와 [R]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Win + R)
- 명령어 입력: 실행 창이 뜨면 텍스트 입력 칸에 **
winver**라고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Enter] 키를 누릅니다. - 결과 확인: 잠시 후, **"Windows 정보"**라는 작은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의 상단에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의 버전 (예: Windows 11 Pro)과 빌드 번호 및 버전 (예: 버전 22H2 (OS 빌드 22621.2134))이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확인된 정보 해석하기
winver로 확인된 정보 중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 버전 (Version): 22H2와 같이 연도와 하반기를 나타내는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4자리 숫자(예: 1909)로 표시되어 대규모 업데이트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이것이 소프트웨어 호환성 등을 확인할 때 가장 중요한 정보입니다.
- OS 빌드 (OS Build): 22621.2134와 같이 세부적인 숫자로 표시되며, 보안 패치나 소규모 수정이 얼마나 적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최종적인 정보입니다.
시스템 설정 메뉴를 통해 자세히 확인하는 방법
winver가 간략한 정보를 보여준다면, 시스템 설정 메뉴는 에디션, 설치 날짜, OS 빌드, 일련 번호 등 훨씬 더 상세한 정보를 한눈에 제공합니다.
설정 앱 진입하기
- 설정 앱 열기: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 키]**와 [I]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Win + I) 또는 시작 메뉴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 메뉴 선택: 설정 창이 열리면 왼쪽 상단의 '시스템' 메뉴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을 것입니다. 만약 아니라면 **'시스템'**을 클릭합니다.
- '정보' 메뉴로 이동: 시스템 설정 메뉴에서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여 가장 마지막에 있는 '정보' 또는 '정보(About)' 메뉴를 클릭합니다.
'정보' 메뉴에서 상세 내용 파악
'정보' 페이지에는 윈도우 버전 관련 정보가 크게 두 섹션으로 나뉘어 표시됩니다.
- 디바이스 사양: 이 섹션은 컴퓨터의 프로세서, 설치된 RAM 등 하드웨어 정보를 보여줍니다.
- Windows 사양: 이 섹션이 바로 우리가 찾는 정보입니다.
- 에디션 (Edition): 사용 중인 윈도우 종류 (예: Windows 11 Pro, Windows 10 Home).
- 버전 (Version): 대규모 업데이트 번호 (예: 22H2).
- 설치 날짜 (Installed on): 현재 버전의 윈도우가 설치된 날짜.
- OS 빌드 (OS build): 현재 적용된 가장 최신 빌드 번호.
- 제품 ID (Product ID): 윈도우 정품 인증에 사용되는 고유 번호 (제품 키와는 다름).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에디션까지 확실하게 알 수 있어, 특히 윈도우 기능의 차이(예: BitLocker, 원격 데스크톱)를 비교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명령 프롬프트(CMD)로 확인하는 고급 방법
보다 전문적이거나 스크립트 기반의 작업을 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를 사용하면 단 한 줄의 명령어로 필요한 윈도우 버전 정보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CMD 실행 및 명령어 입력
- CMD 실행: **[Windows 로고 키]**를 누른 후 **"cmd"**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 명령어 입력: 프롬프트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만약 한글 윈도우 환경이 아닌 경우, "OS 이름"과 "OS 버전"을 "OS Name"과 "OS Version"으로 바꿔 입력해야 합니다.)systeminfo | findstr /B /C:"OS 이름" /C:"OS 버전"
명령어 결과 해석
이 명령어는 시스템 정보 중 OS 이름과 OS 버전 두 줄만 필터링하여 보여줍니다.
- OS 이름: Microsoft Windows 11 Pro와 같이 윈도우 버전과 에디션을 함께 보여줍니다.
- OS 버전: 10.0.22621와 같이 버전과 빌드 번호의 핵심 숫자만 간결하게 보여줍니다. (여기서 10.0은 윈도우 NT 커널의 주 버전을 의미하며, 22621이 실질적인 빌드 번호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시스템 정보를 함께 볼 필요 없이 오로지 버전 정보만 깔끔하게 보고 싶을 때 아주 효율적입니다.
윈도우 버전 정보 활용 팁
자신의 노트북 윈도우 버전을 정확히 알았다면, 이 정보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수동 업데이트 확인: 현재 내 윈도우 버전(예: 22H2)보다 더 새로운 버전(예: 23H2)이 배포되었는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수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검색: 하드웨어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때, 윈도우 버전(예: Windows 11 64-bit)에 맞는 파일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호환성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기능 확인: 윈도우 버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10 Home과 Windows 10 Pro는 BitLocker 유무 등의 차이가 있는데, **
Windows 사양**의 에디션 정보를 통해 내 노트북이 어떤 에디션인지 확인하고 해당 기능의 사용 가능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어떤 방법이든 10초 이내에 노트북의 윈도우 버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니, 더욱 자신감 있게 PC를 관리하고 트러블 슈팅에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백을 제외한 글자수는 약 2011자 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정품 인증' 워터마크, 이제 그만! 윈도우 10 정품인증 완벽 해결 가이드 🔑 (0) | 2025.10.02 |
|---|---|
| ✨복잡한 윈도우 바탕화면, 창 정렬 마스터하기: 1분 만에 깔끔하게 해결! (0) | 2025.10.02 |
| ⏳ 멈춰버린 윈도우 10 화면보호기 시간, 완벽 해결 가이드! 🛠️ (0) | 2025.10.01 |
| '버벅거림'과 '멈춤'은 이제 그만! 윈도우 메모리 부족, 완벽하게 해결하는 특급 비법 (0) | 2025.10.01 |
| 😱 윈도우 11 작업표시줄이 두 줄로 늘어났다고? 초간단 해결 비법 대공개! (0) | 2025.10.01 |